반응형
청순한 일본모델 비주얼
vodo.kr
하트시그널 역대급 비주얼
var API_KEY = '6c97cd07663b099253bc569fe8d342bb'; // 픽클릭에서 제공받은 API KEYvar piclickWritingTime = '202
vodo.kr
작업단계 | 위험요인 | 현재 조치사항 | |
작업요청 접수 및 현장 확인 | 작업 위험성 미확인 장비의 선택 오류 | Ø 작업장 위치 및 작업 예상 지점 확인 | |
Ø 지하배관 도면 확인 - 설비기술팀 협조(전기 및 기타 다른 지하배관 매설) |
|||
Ø 작업상황에 따른 작업방법 및 협조부서 확인 | |||
Ø 대민/대관 및 주변환경등 검토 | |||
Ø 폐기물 처리절차 수립 | |||
Ø 토사 붕괴 및 지반침하 여부 검토 | |||
작업전 안전사항 | 작업자의 안전의식 부족 | Ø 특별안전교육실시 (노동부,산업안전,SHE(안전.보건.환경),작업표준) |
|
Ø 안전교육 실시 및 이수현황 확인 | |||
Ø 공정과의 격리 차단막 설치확인 | |||
Ø 작업전 스트레칭 (전체 구성원) 실시 | |||
Ø 현장작업전 해당작업관련 위험예지활동 실시 | |||
Ø 작업자 Condition 점검 | |||
Ø 비상시 대응절차 작업자 숙지 | |||
Ø 안전 관련 작업방법 검토 | |||
Ø 굴토방법, 작업범위, 상황, 조건, 협조부서, 대민, 대관 및 주변환경 등 검토 | |||
작업허가증 발급 및 승인 |
부적합한 허가절차 및 임의 작업으로 사고유발 | Ø 작업개요 및 작업위치 확인 | |
Ø 발급팀 작업전 안전조치/확인 및 승인 | |||
작업전 안전조치 미확인 및 미승인 | Ø 작업수행팀 안전조치 항목체크 사항 확인 | ||
작업수행팀 안전조치 항목 누락 | Ø MSDS 및 특별안전교육 실시 확인 | ||
MSDS및 작업투입전 안전교육 미실시 | Ø 위험예지 활동 실시 확인 | ||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측정 기록관리 확인 | Ø 작업전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측정 실시 | ||
장비 및 자재 현장반입 | 지게차로 자재하역시 자재가 전도되어 충돌, 협착 | Ø 지게차 후방 경광등 설치와 전담 신호수 배치 | |
Ø 빔 적재용 받침대는 하중에 견딜수 있는 견고한 자재 사용 | |||
Ø 적재된 파일은 구르거나 붕괴되지 않도록 구름방지 쐐기 설치 | |||
Ø 지게차로 하역 운반시 유도자배치, 주변 근로자통제 | |||
아스콘(아스팔트&콘크리트)절단 및 파쇄제거작업 | 절단기로 절단파쇄시 분진 호흡곤란 | Ø 분진/방진마스크 착용 철저 | |
절단기 부속 교체중 오조작으로 인한 손가락 절단 | Ø M/C Cutter whill 보호 Cover 상태확인 | ||
작업중 절단기 숫돌이 파손되면서 신체 손상 | Ø 절단기사용시 파괴시험에 합격한 구격품 사용 | ||
전동카타 공구 사용중 접지미비로 감전사고 | Ø 접지형 플러그는 접지형 콘센트에 꽂아 사용 | ||
지하매설물 확인 작업 | 지하 매설물 미확인 오류 지장물 주변굴착 작업시 지장물 관리주체와의 협조체계 미비 유해물질/가스 누출 가능성 미확인 질식상해 | Ø 위험예지 활동표 작성 및 투입전 안전교육 서명 | |
Ø 지하매설물 유무확인 | |||
Ø 발화가능 /도로의 절단 등확인 | |||
Ø 도로의차단상태 안전팀에 통보 | |||
브레이카 파쇄작업시 고음/소음으로 난청노출 | Ø 브레이카 작업시 귀마개등 개인보호구 착용 | ||
Ø 작업량이 많을시 끊어서 작업 | |||
Ø 기계접합부위 주유 | |||
철골부재의 연약지반에 적재시 지반침하로 자재전도 위험 | Ø 자재는 평탄하고 견고한 지반에 보관 | ||
Ø 하역된 자재는 전도되지않게 안전하게 받치고 적재 | |||
Ø 자재 묶음다발은 결속된 부위 확인 | |||
자재 인양중 섬유로프,와이어로프 파단으로 낙하 | Ø 꼬이거나 심하게 손상된 로프 사용금지 | ||
Ø 각이진곳 줄걸이 보호대 설치 후 작업 | |||
Ø 줄걸이 매단각도 60도이내 | |||
자재하역시 크레인 후크해지장치 미설치로 탈락, 낙하 | Ø 자재 하역시 인양장비의 후크 해지장치 설치 및 확인 | ||
하역중 타 근로자 접근 하여 충돌 | Ø 하역장소에 관계자외 출입금지 조치 | ||
Ø 적합한 작업수단 적용 | |||
Ø 용도에 맞지않는 장비로 작업 금지 | |||
작업장소주변 위험지역 미설정으로 장비 전도 및 근로자 시설물과 충돌 | Ø 작업구역내 위험 작업구역 설정 | ||
Ø 구덩이 또는 굴토 위험구역의 야광 표시설치 | |||
Ø 작업장 주변의 돌출물/장애물 제거 | |||
유도자 미배치하여 자재운반차량에 충돌 | Ø 철골차량 현장진입시 유도자 배치하여 안전하게 유도 | ||
운반트럭에서 하역중 장비 전도,도괴 | Ø 운반트럭에 하역용 경사로연결부 탈락되지 않게 견고히 체결 | ||
Ø 장비운전원 안전벨트 착용/안전모 착용 | |||
Ø 작업지휘자 배치 | |||
차량에 근로자가 무리하게 오르내리다 추락, 협착 | Ø 무리하게 뛰어내리지 말 것 사다리 거치후 오르내림 | ||
Ø 장비기사가 무리하게 작업하지 말 것 | |||
Ø 지정 신호수 배치하고 안전보호구 착용 | |||
굴삭기 운전원의 조작미숙에 의한 충돌 발생 굴삭기 회전중 굴삭기 주변 근로자 협착, 충돌 | Ø 굴삭기 운전원 자격유무 확인하여 작업 적합성 확인 | ||
Ø 유도자 배치 후 작업반경내 근로자 접근금지 통제 | |||
흙막이 지보설치 굴착작업 | 법면, 토질이나 지층상태 점검 소홀에 따른 붕괴 과굴착의 의한 법면붕괴 | Ø 작업전,작업중 법면 상태,토질 및 지층상태를 수시로 확인 | |
Ø 과굴착을 금지하고 토질에 적합한 굴착깊이 준수 | |||
지중 가시설 보강및 해체작업시 충돌 협착 재해 | Ø 근로자/관리감독자는 작업중 안전모등 개인보호구 착용철저 | ||
Ø 작업장 바닥 및 주변의 돌추된 부위제거 | |||
Ø 노출된 지장물 즉시 위험표시등 조치하고 보호조치 | |||
Ø 보강작업 위해 지장 가시설물의 무리한 해체금지 및 별도 보강후 해체작업 | |||
굴착면 상부의 토사붕괴 하부 매몰 | Ø 붕괴위험선 바깥으로 토사 적재 | ||
Ø 주변지반의 침하방지 조치 | |||
Ø 장비와 인력굴토 동시작업 금지 | |||
굴착면 상부에서 작업중 추락 | Ø 굴착면 상부에 추락 재해 에방을 위한 안전휀스를 설치 | ||
Ø 가시설물 단부등 추락위험장소에 안전난간대 설치또는 안전대 부착, 안전대부착 설비 와 안전대 착용철저 | |||
Ø 굴착면 상부에 안전휀스,안전난간대 추락방지 시설 설치 | |||
굴삭기 작업중 버켓이 탈락되어 낙하 | Ø 굴삭기는 연결부 등의 이상유무를 사전점검 하고 작업 실시 | ||
Ø 굴삭기 작업시 유도자배치하고 주변근로자 통제 | |||
Ø 굴삭기운전원 자격유무,운전경력,경험 사전확인하고 작업실시 | |||
굴토지역 지하 작업시 유독/유해가스로 인한 질식사고 | Ø 유해가스 차단 산소농도 측정및 환기후 작업 | ||
Ø 작업자 키높이 이상 굴토지역 밀폐공간 출입허가 절차 준수 | |||
Ø 안전작업 허가절차준수(발화가능,유해위험 누출,노출작업) | |||
Ø 산소(O2)농도,유해가스 및 인화성가스 검사를 최초검사/재검사를 구분하여 수행 하부작업자 출입기록관리 철저 | |||
천공 및 파일박기 | 천공기 하부 지반 침하방지 미실시로 전도 | Ø 천공기 하부 지반침하 방지조치 실시 후 작업 | |
항타 항발기등 건설기계 작업중 근로자 충돌협착 | Ø 연약지반 보강 지반의 평탄성 유지 | ||
Ø 토공장비 작업반경내 근로자 출입통제 | |||
Ø 주행경로등 위험구역에 유도자배치 및 유도실시 | |||
Ø 주행경로등 위험구역에 유도자배치 및 유도실시 | |||
항타기 붐대와 함마리더기 조립시 전도 파일박기 작업시 H빔이 탈락되면서 낙하 협착 | Ø 파일세우기기 와이어로프고졍 견고히하고 작업 반경내 근로자 접근을 통제 | ||
Ø 항타기의 붐대와 부속구는 손상된곳 없는가 확인 | |||
Ø H빔 인양시 걸고리 안전고리 확인 | |||
Ø 작업 무경험자 배치 금지 | |||
흙막이 상부 지상에서 작업중 굴착면 단부로 추락 | Ø 흙막이 상부,굴착단부에는 안전난간대를 설치 | ||
토류판 및 비계설치 작업 | 안전대 미착용하고 띠장 및 버팀보 상부로 이동하다 실족 | Ø 작업자 이동장소에 안전난간대 부착설비 설치 및 안전대 착용 | |
Ø 작업자가 개구부를 임의로 해체하지 못하게 지휘감독철저 | |||
Ø 개구부 덮개의 밟을때 파손되지않고 탈락되지않는 견고한것 사용 | |||
Ø 개구부 주변에 추락재해방지를 위한 안전난대설치 | |||
Ø 개구부덮개는 스토퍼를 설치하거나 고정시켜 탈락을 방지. | |||
토류판 설치 작업중 배면 토사붕괴 | Ø 배면 토사 이완되기 전에 토류판 설치 할수 있도록 설치시기관리 | ||
하부작업장 이동 통로 미확보로 무리하게 내려가다 실족 | Ø 하부 작업장 굴착진도에 따라 작업통로 설치 | ||
상부에서 잔재부스르기 하부로 낙하 근로자가 맞음 | Ø 하부 작업장으로 낙하물 방지조치 후 작업 | ||
Ø 물건을 던지거나 투하금지 | |||
Ø 상부의 낙하위험물 잔재 제거후 하부작업 | |||
흙막이 지보공(strut)조립 미비에 의한 붕괴 | Ø 흙막이 지보공 설치 도면 및 시방서 준순비규격 토류판 사용금지, 토류판 밀실하게 설치 | ||
토류판 설치작업중 치수불량으로 설치된 토류판 낙하 | |||
방수작업 및 되메우기 작업 | 되메우기 작업중 장비 전도 및 협착 | Ø 경사지등에서 다짐작업시 전도방지조치 | |
Ø 유도자 배치,지반의 부등침하방지,갓길 붕괴방지 안전조치실시 | |||
Ø 휴식등 운전원 운전위치 이탈시 장비의 이탈방지 안전조치 | |||
방수도색 그라인딩 및 분무작업 유해분진 흡입 | Ø 방진마스크 착용 철저 | ||
유도자 없이 운반트럭 후진중 법면 추락 | Ø 운반트럭 후진시 유도자 배치하여 안전하게 유도 | ||
Ø 붕괴위험 장소의 하부에 접근금지 | |||
수직구 단부위 안전난간대 미설치로 미끄러져 근로자 추락 | Ø 수직구 개구부 주변 안전난간대 설치 | ||
Ø 다짐장소로 안전하게 이동할 통로설치 | |||
Ø 굴착,되메움 토사단부에 추락방용 안전난간대 설치 | |||
Ø 법면단부에 안전난간대 설치 추락방호 조치 | |||
아스콘 포장/콘크리트 타설 및 기타 토목작업 | 아스팔트 포설시 장비에 근로자 충돌,협착 | Ø 신호수,장비유도자 배치 | |
콘크리트 포장시 펌프카 아웃트리거 받침 침하로 장비전도 펌프카 오작동으로 내용물을 쏟아 작업자 다침 | Ø 지반확인 후 견고하고 평탄한 지반에 설치 | ||
Ø 붐대 이동시 배관내 내용물 획인 후 작동 | |||
레미콘 회전체 청소시 운전자 및 근로자 협착 | Ø 회전체 청소시 지정된 안전구역에서 청소실시 | ||
작업종료 및 정리 | 폐기물 처리시 잔재물 낙하 | Ø 폐기물,환경처리절차에 의거 처리 | |
근로자 상해 현장 자재에 걸려 작업자 전도 | Ø 작업장 통행로 확보 | ||
Ø 굴삭기로 폐기물 상차하여 이동시 낙물주의 | |||
Ø 작업장 주변 정리정돈 철처 |
반응형
'산업안전보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비작업 절차서(PSM) (0) | 2022.07.28 |
---|---|
안전보건총괄책임자,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예시 (0) | 2022.04.12 |
작업위험성평가(JSA)_비계해체작업 (0) | 2022.03.25 |
작업위험성평가(JSA)_비계설치작업 (0) | 2022.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