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하루에 커플 10쌍 부수는 모델 누나
vodo.kr
청순한 일본모델 비주얼
vodo.kr
작업단계 | 위험요인 | 현재 조치사항 | |
작업준비 | 공정 자료 및 사전 준비 미흡에 의한 인체상해 및 화재/폭발 | 1. 작업부위에 대한 공정자료 준비(운전부서에 요청) • 물질안전보건자료 (MSDS) • 공정 위험성 평가 결과 2. 현장파악을 통해 작업에 필요한 자재, 공구 및 타 준비작업 필요여부 확인 |
|
부적합한 중량물 사용 계획 수립으로 낙하 및 인체 상해 | 1. 중량물 무게, 높이 및 작업반경을 파악하여 Regging Plan작성 2. 중량물 취급 계획서 작성 (작업허가절차 규정 참조) 3. 중장비 설치 부위 및 이동 경로상 지반확인 (필요시 지반방지 대책 수립) |
||
작업자 Condition 및 위험성 인식 부족으로 인한 인체상해 | 1. 체조 및 스트레칭을 실시하여 작업자 Condition 점검 2. 유해, 위험물질에 대한 MSDS 교육 및 안전보호구 지급 3. 안전교육 및 위험예지활동을 실시하여 작업 위험성 공유 |
||
작업도구 준비 | 부적합한 도구사용에 의한 중량물 낙하 또는 인체 상해 | 1. Chain Block(체인 블럭) 1) 점검 및 점검점검필증 부착 2) 점검항목 • Chain Block Load Test (작업하중의 1.5배) 실시 • Chain 및 몸체 손상여부 육안 확인 2. Sling Belt(슬링 밸트) 1) 점검 및 점검점검필증 부착 2) 점검 중 아래와 같은 사용금지 자재 발견시 폐기 처분 실시 • 봉제선이 풀어진 길이가 벨트의 폭보다 클때 • 봉제선의 풀어진 길이가 봉제부 길이의 20%를 넘을 때 • 표면이 털모양으로 일어난 경우 • 아이 부의 봉제선이 풀어진 경우 • 심한 손상이 있는 경우 3. Wire Rope(와이어 로프) 1) 점검 및 점검점검필증 부착 2) 점검 중 아래와 같은 사용금지 자재 발견시 폐기 처분 실시 • 한 스트랜드에서 끊어진 소선의 수가 10% 이상 • 지름의 감소가 7% 초과 • 심하게 변형 또는 부식된 것 • 꼬인것 및 이음매가 있는 것 4. 샥클 & Eye Bolt(아이 볼트) 1) 점검 및 점검점검필증 부착(PT검사) 2) 점검 중 아래와 같은 사용금지 자재 발견시 폐기 처분 실시 • 열영향을 받은 것 • 변형된 것(변형율 8%) • 나사산이 마모된 것 • 안전하중 표기가 없는 것 |
|
작업장비 준비 | 부적절한 장비사용에 의한 장비 전복 또는 중량물 낙하 | 1. 크레인 & 카고 크레인 1) 중량물 무게, 작업반경, 높이 확인 2) 적정 Crane 선정을 위한 Rigging Plan 작성 2. 지게차 1) 중량물 무게 확인 후 적정 장비 선정 2) 후진 경보음 및 경보등 작동상태 확인 3. 차량(Truck) 1) 운반 중량물 무게, 폭, 길이를 확인하여 적정 장비 선정 |
|
배출 Gas에 포함된 불티에 의한 화재 | 1. 배기구 불티비산 방지망 설치 | ||
장비현장 이동 | 이동간 주변 구조물과 충돌 | 1. 크레인 & 카고 크레인 1) 사전 이동경로상 장애요인 (높이, 폭) 확인 2) 공정내 진입시 유도원 배치 3) Boom을 펼친 상태로 운행 금지 2. 지게차 & 차량 (Truck) 1) 사전 이동경로상 장애요인 (높이, 폭) 확인 2) 공정내 진입시 유도원 배치 |
|
중량물 작업 | 부적절한 공도구 사용에 의한 중량물 낙하 또는 인체 상해 | 1. 사전 점검 후 점검필증이 부착된 자재 사용 2. 사용전 자재 손상여부 육안 확인 후 사용 3. 공도구별 규정된 무게 이상의 중량물 인양 금지 4. 작업중 훼손된 자재는 발견 즉시 폐기 |
|
장비 설치 및 회전시 장치물과 충돌 및 인체상해 | 1. 장비 회전반경내 구조물과 충돌여부 확인 후 설치 2. 경계줄을 설치하여 작업반경내 작업자 출입통제 3. 협소지역 장비 설치시 작업자 이동통로 확보 4. 신호수는 장비 회전시 회전 반경내 작업자 출입 확인 후 신호 지시 |
||
장비 설치 불량에 의한 전도 | 1. 설치 순서 준수 가. 보조 받침대를 Outrigger(아웃트리거) 설치 위치에 운반 - 보조 받침대 설치시 아래 기준 준수 * 보조 받침대는 Outrigger 보다 폭 (10Cm), 길이 (30Cm) 크게 설치 * 철판 사용시 최소 20mm 이상 설치 * 침목 사용시 서로 밀착되게 설치 후 굻은 철사로 단단히 묶어 사용 나. Outrigger를 보조 받침대 위에 장비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공정에서 도로면 순으로 설치 다. Hook의 Wire 길이를 확인하면서 Boom을 중량물 높이까지 펼친다. |
||
과 중량에 의한 장비 전도 | 1. Rigging Plan에 준한 장비 사용, 중량물 작업반경, 높이에 따라 정해진 중량이상의 중량물 이양 금지 2. 중량물 무게, 높이, 작업반경 등 작업조건 변경시 재 Rigging Plan 작성 후 작업 수행 |
||
지반 침하에 의한 장비 전도 | 1. 비포장도로 진입시 지반 상태 확인 2. 주자시 바퀴에 고임목 설치 (특히 경사면) 3. 비포장지역에서 장기간 작업시 다짐작업 후 장비 설치 |
||
장비 전복에 의한 운전자 상해 | 1. 안전모, 안전Belt 착용 후 장비 조작 2. 지정된 신호수 지시에 따라 장비 조작 |
||
후진시 주변 장치물과 의 충돌 및 인체상해 | 1. 장비 유도원(신호수) 배치 2. 지게차 후면에 작업자 출입 통제 3. 후진시 경보등 및 경보음 작동 |
||
이동중 장비 전도 및 중량물 낙하 | 1. 장거리 운반시 Truck 사용 2. 무게 중심을 확인하여 중량물 인양 3. 지정된 무게 이상의 중량물 인양 금지 4. 사전 이동경로상 장애요인 (높이, 폭) 확인 5. 운행시 Lift(리프트)를 지면에 가깝게하여 운행 6. 지게차 Lift(리프트) 위에서 작업하는 행위 금지 7. 기사 외 탑승 금지 (신호수 포함) 8. 공정내 진입시 유도원 배치 |
||
장비 전복에 의한 운전자 상해 | 1. 운행시 안전모, 안전Belt 착용 2. 급격하고 순간적인 장비 회전 금지 3. 차량문을 닫고 운행 (창문 밖으로 팔, 머리를 내밀지 말 것) |
||
적재 불량으로 인한 장비 전도 및 적재물 낙하 | 1. 중량물이 흔들림이 없도록 단단히 고정 (고정용 쐐기 및 Belt 설치) 2. 중량물 초과 적재 금지 3. 화물칸 Door(문짝)를 닫고 운행 |
||
난폭 운전에 의한 적재물 낙하 및 충돌 | 1. 규정된 속도 준수 2. 과속 방지턱 및 로타리 전 일시정지 후 운행 |
||
2줄 이상 Wire Rope 및 Sling Belt 사용시 중량물 낙하 | 1. 중량물 무게중심(Center) 확인 후 양쪽이 동일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Rope 및 Belt 설치 (필요시 Chain Block 사용) 2. 인양각도는 60도 유지 3. 사전 점검 후 점검점검필증이 부착된 공도구 및 자재 사용 |
||
장비철거 | 장비 철수 중 전도 | 1. 크레인 & 카고 크레인 1) 철수 순서 준수 가. 먼저 Boom을 원위치로 집어 넣고, Outrigger를 집어 넣을 것 나. Outrigger는 수평을 유지하면서도 로면에서 공정 순으로 집어 넣을 것 |
|
이동간 주변 구조물과 충돌 | 1. 크레인 & 카고 크레인 1) 이동경로상 장애요인 (높이, 폭) 확인 2) 공정 외 이동시 까지 유도원 배치 3) Boom을 펼친 상태로 운행 금지 2. 지게차 & 차량 (Truck) 1) 이동경로상 장애요인 (높이, 폭) 확인 2) 공정 외 이동시 까지 유도원 배치 |
||
마무리 작업 | 폐기물 처리 | 1. 작업중 발생되는 폐기물은 분리 수거 후 지정된 장소로 보관/폐기 |
반응형
'산업안전보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업위험성평가(JSA)_비계해체작업 (0) | 2022.03.25 |
---|---|
작업위험성평가(JSA)_비계설치작업 (0) | 2022.03.25 |
PSM 안전진단 종류 및 대상 (0) | 2022.03.23 |
공정사고 조사 계획 (0) | 2022.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