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산업안전기사 2

안전보건관리 조직의 분류 및 특성(산업안전기사_안전관리론)

1) 라인형 안전관리의 모든 것을 생산조직을 통해서 행하는 방식 소규모 사업장(100명 이하) 적용 가능 장점: 명령 및 지시가 신속, 정확 단점: 안전에 대한 정보 불충분, 라인에 과도한 책임 부여 생산/안전 동시에 지시하는 형태 2) 스태프형(참모형) 안전관리 전담하는 스태프가 안전관리 중규모 사업장(100~1000명) 적용 가능 장점: 안전정보 수집이 용이 단점: 안전과 생산을 별개로 취급 안전전문가(스태프)가 문제해결방안 모색 스태프는 경영자의 조언, 자문 역활을 함 생산은 안전에 대한 권한, 책임 없음 권한 다툼이나 조정으로 통제수속이 복잡

사고발생 이론(산업안전기사_안전관리론)

1) 하인리히 사고발생 도미노 5단계 단계: 선천적 결함(사회, 환경, 유전적 결함) 단계: 개인적 결함 단계: 불안전 행동(인적결함), 불안전한 상태(물적결함) 단계: 사고 단계: 재해 2) 버드의 연쇄성이론 5단계 단계: 제어부족 단계: 기본원인 단계: 직접원인 단계: 사고 단계: 상해 3) 아담스 연쇄성이론 5단계 단계: 관리구조 단계: 작전적 에러 단계: 전술적 에러 단계: 사고 단계: 상해 4) 자베타키스의 이론 단계: 안전정책과 결정 단계: 개인적인 요소 단계: 환경적 요소 5) 웨버의 연쇄성 이론 단계: 사회적 환경 및 유전적 요소 단계: 인간의 결함 단계: 불안전 행동 및 상태 단계: 사고 단계: 상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