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의 기원과 역사
천문학은 지구 대기의 바깥쪽의 현상과 지구로부터 멀리 떨어진 은하, 행성, 혜성 등 같은 것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분야이다. 천체의 운동, 물리, 화학, 기상, 진화와 우주의 시작과 진화를 연구하는 아주 신비롭고 방대한 학문이다.
인간들이 농경생활을 시작하면서 부터 하늘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에 천문학은 인간의 역사에서 가장 먼저 생겨난 학문 중의 하나이다.
동, 서양을 막론하고 천문학적 유물과 기록들을 많이 남겼다. 선사시대의 문명은 피라미드, 스톤헨지 같은 유물을, 바빌론, 중국, 인도, 이란, 마야문명 같은 초기 문명들은 많은 관측 기록을 후세에 남겼다.
천문학은 관측 분야와 이론 분야로 나눌수 있는데 이는 20세기에 들어와서 분격적으로 구분되었다. 관측 분야는 천체에 대한 자료를 물리적으로 분석하는데 주력했으며, 이론 분야는 천문학적 현상을 컴퓨터를 이용한 해석을 통해 설명하는 것에 주력했다.
그러면 기원과 역사에 대해서 좀 더 세부적으로 알아보자
농사와 날씨 예측, 지리 관측이 천문학이 발생한 주요 동기라고 볼 수 있다. 천문학적 목적으로 스톤헨지 같은 거대한 유적이 건설되기도 했고, 제사 같은 종교적인 목적으로도 이용되었을 것이다.
바빌론에서 수학,과학적 천문학이 시작된 것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바빌론(1) 천문학자들은 월식이 주기를 가지고 반복된다는 것을 발견했고 다른 문명의 천문학적 기초를 세우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바빌론 이후 고대 그리스에서 천문학의 중요한 발전이 이루어졌다. 그리스 인들은 천문 현상에 대해 이성적이고 물리적인 답을 구하려 했다. 아리스타코스가 3세기에 지구의 크기를 계산하였고 그는 처음으로 지동설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히 파르 쿠스는 2세기에 세차를 통해 달의 크기와 거리를 계산하였다.
13세기까지 천문학은 중세 유럽에서는 정체 되었지만, 다른 지역 특히 이슬람 지역에서는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다. 이슬람 지역 최초의 천문대가 9세기 초에 만들어졌으며, 페르시아 천문학자 알 수피는 964년에 안드로메다 은하를 발견했다. 역사적으로 가장 밝은 초신성은 이집트와 중국의 천문학자에 의해 1006년에 발견되었다.
17세기에 망원경이 발명되면서 인간들은 더 먼곳까지 볼 수 있게 되었고 이를 통해 천문학은 더욱더 발전하게 된다. 20세기에 역학, 전자기학 등의 물리학의 발달로 인간들은 지구에 국한되지 않고 넓은 우주를 관찰할 수 있게 되었다.
망원경의 발달이 가속화 되면서 성능이 향상되었고 이를 통해 많은 천문학적 발견들이 있었다. 허셜은 성운,성단의 목록을 만들었고, 라카유는 별의 목록을 만들었다. 1838년에 베셀은 백조자리 61별의 연주시차를 통해서 최초로 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18~19세기에는 삼체문제 해결을 위해 많은 이들이 노력을 기울였고, 달고 태양의 위치를 조금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사진술과 같은 기술의 발달로 천문학 전반에 획기적인 발전이 이루어졌다. 특히 분광학을 다른 별들에 적용함으로써 별들이 태양과 같은 천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밤 하늘에서 볼 수 있는 은하수가 별들의 집합인 우리은하라는 사실은 20세기에 들어서 확립되었다. 이어서 외부 은하, 우주의 팽창이 발견되었다. 현대 천문학은 펄서, 퀘이사, 블레이져. 전파은하 등 특이한 천체들을 발견했다.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허블의 법칙의 관측이 지지하는 대폭발 이론의 등장으로 물리적 우주론은 20세기에 큰 성공을 거두었다.
천문학에서 모든 정보는 천체로부터의 가시광 영역의 빛과 다른 파장의 전자기파를 감지하고 분석하여 알 수 있다. 관측천문학은 전자기파의 파장대별로 나룰 수 있다. 지상에서 관측이 가능한 파장대의 빛도 있지만 어떤 영역대는 높은 고도의 지역 또는 우주에서만 가능하다.
지금까지 천문학의 기원과 역사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
무더위가 시작되는 것 캍습니다. 본격적인 여름이 오기전에 삼계탕 같은 몸보신 음식 좀 먹어야 겠습니다.
모두들 건강관리 잘하셔서 건강한 여름 보내시길 바랍니다.